1월 17일부터 운영하던 3300번 출퇴근형 전세버스를
3대에서 5대로 추가 운행하여 시민들의 출퇴근시간대
교통 불편을 줄인다고 안양시에서 밝혔다.
자세한 사항은 아래의 내용에서 알아보도록 하자
안양시, 5월 17일부터 3330번 출·퇴근형 전세버스 3대에서 5대 확대 교통흐름 완화예정
안양시가 오는 17일부터 3330번 광역노선의 출근형 전세버스를
기존 3대에서 4대로 증차하고, 퇴근형 전세버스도 1대를 추가 운행한다.
총 5대의 3330번 출·퇴근형 전세버스가 안양~성남을 오가며 운영된다.
앞서, 시는 광역버스 입석 금지 조치가 시행됨에 따라
시민의 출퇴근길 불편 완화를 위해 지난 1월 17일부터
3330번 광역노선에 출근형 전세버스 3대를 운영 중이다.
기존 3330번 출근형 전세버스는 안양시 롯데백화점. 범계역(10047)에서 출발해
성남시 도촌동 9단지 앞(06198)을 종점으로 출발시간
오전 7시 35분, 오전 7시 50분, 오전 8시 5분에 각 1대씩 총 3대가 운행되고 있다.
이에 더해, 오는 17일부터는 오전 7시 20분에 안양시청(10095)을 출발해
성남시 도촌동 9단지 앞(06198)까지 운행하는 출근형 전세버스 1대가 추가된다.
또, 퇴근형 전세버스도 1대 추가해 오후 6시 30분에
이매촌한신.서현역.AK플라자(07170)을 출발해 안양역(09213)까지 운행한다.
최대호 안양시장은 “전세버스가 경유하는 지자체와 지속적으로 협의해
이번에 2대를 증차하게 됐다”며 “앞으로도 시민들의 교통수요를 모니터링해
교통 불편을 줄일 수 있도록 다양한 정책들을 추진하겠다”라고 말했다.
출·퇴근형 전세버스는 특정시간대 집중된 운송수요를 해결하고자
경유 지자체와 운수업체 등이 협의하고 지자체가
출퇴근 시간대에 투입하는 전세버스를 말한다. 이에 따라
버스 정규노선과 달리 기·종점이 다를 수 있다.
본문 세줄 요약
- 5월 17일 부터 기존에 운영하던 출˙퇴근형 전세버스3330번이 3대 에서 5대로 증차한다.
- 출근형은 오전 7시 20분 안양시청(10095)을 출발해 성남시 도촌동 9단지 앞(06198)까지 운행하고
- 퇴근형은 오후 6시 30분에 이매촌한신.서현역.AK플라자(07170)을 출발해 안양역(09213)까지 운행한다.
'뉴스 > 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흥평생학습관 제7기 정기교육 수강생 모집, ‘제과기능사’등 총 43개 강좌에 595명 모집 (0) | 2023.05.13 |
---|---|
5월 20일 국립무용단 <전통의 품격>, 남한산성아트홀에서 고품격 공연 (0) | 2023.05.13 |
안양시, ESG 혁신전문가 초청 특강 및 네트워킹데이 개최 신청하는 방법 (0) | 2023.05.13 |
안성맞춤박물관, 박물관대학 운영 , 홍원의 학예사와 함께하는 안성맞춤박물관대학 (0) | 2023.05.10 |
2023년 의왕시 농산물 직거래장터 개장,‘행복한 농부마켓’매주 목˙금요일 10:00~16:00 운영 (0) | 2023.05.10 |
댓글